본문 바로가기
교육 이야기

장마철 빨래 냄새 안 나게 하는 법 이렇게만 하세요

by 화더 2025. 3. 24.

장마철이 되면 빨래를 아무리 잘해도 옷이나 수건에서 나는 꿉꿉한 냄새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분들이 많습니다.

꼭 장마철이 아니더라도 건조가 덜 된 옷 냄새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.

이런 냄새는 단순히 ‘젖은 냄새’가 아니라, 세균과 곰팡이가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

특히 비 오는 날이나 습한 날씨가 계속되면 건조 시간이 길어지면서 세균 번식 조건이 완벽하게 갖춰지기 때문에, 빨래 후 냄새 문제가 반복되기 쉽습니다.

이번 포스팅에서는 장마철 빨래 냄새의 원인부터, 실제로 효과 있는 냄새 제거 및 예방 방법을 과학적 근거와 함께 안내드립니다.

장마철 빨래 냄새, 왜 나는 걸까요?

빨래에서 나는 꿉꿉한 냄새의 주범은 바로 세균과 곰팡이입니다.

한국소비자원의 발표에 따르면, 장마철 실내 건조 시 빨래에 남아 있는 습기와 체취, 세제 찌꺼기 등이 세균 증식의 원인이 된다고 밝혔습니다. 특히 세탁 후 10시간 이상 젖은 상태가 유지되면, 옷감 안쪽에서 ‘마이크로코커스(Micrococcus)와 같은 박테리아가 번식하면서 특유의 산패 냄새를 유발한다고 합니다.

이 냄새는 일반 탈취제로는 쉽게 제거되지 않으며,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심해질 수 있습니다.

 

 

빨래 냄새 없애는 가장 효과적인 세탁법

✔️ 세탁 전에 세탁물은 가능한 한 빨리 세탁해야 합니다. 젖은 옷을 장시간 방치하면 냄새의 원인이 됩니다.

세탁기 내부 청소도 중요합니다. 세탁조 안에 곰팡이가 서식할 수 있으므로, 한 달에 한 번 이상 세탁조 클리너로 청소하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✔️ 세탁할 때 뜨거운 물(40~60도)로 세탁하면 세균 제거 효과가 높습니다.

단, 고온 세탁이 가능한 섬유에만 적용해야 합니다. 베이킹소다 또는 구연산을 소량 넣어주면 세탁 시 냄새를 중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 헹굼 단계에서 식초 한 스푼을 넣는 것도 자연 탈취 효과를 줍니다.

 

 

건조가 핵심! 냄새 없는 빨래의 비밀

건조가 늦어지면 냄새는 필연적입니다. 장마철엔 빠른 건조가 가장 중요한데, 아래 방법들이 효과적입니다.

  • 선풍기 + 제습기 병행 사용: 바람과 습기 제거를 동시에 하면 건조 시간이 크게 단축됩니다.
  • 빨래 사이 간격 유지: 옷 사이에 공기 흐름이 있어야 수분이 잘 증발됩니다. 겹쳐 널면 마르지 않아 냄새가 남습니다.
  • 행주나 수건 등 두꺼운 직물은 마지막에 탈수 한 번 더 돌리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욕실보다는 창문 가까운 통풍 잘 되는 곳에 건조해야 합니다.

 

장마철 빨래 냄새 미리 예방하는 팁

✔️ 세제 양 줄이기

세제를 많이 넣는다고 깨끗하게 빨리는 게 아닙니다. 남은 세제 찌꺼기가 오히려 냄새를 유발하므로, 권장량보다 20% 적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✔️ 탈취 스프레이나 섬유유연제는 선택적으로 과도한 섬유유연제는 오히려 세균 번식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

항균 기능이 있는 탈취 스프레이를 뿌리거나, 천연 아로마 오일 몇 방울을 물에 희석해 뿌리는 방법도 효과적입니다.

 

✔️ 빨래 후 바로 개지 않으면 재건조 완전히 마르지 않은 빨래를 접으면 습기가 갇히면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.

뽀송하게 마른 상태에서 개는 습관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식초, 왜 도움이 될까?

  • 천연 산성 성분으로 탈취 효과 식초(특히 백식초)는 약산성이라 세탁 시 알칼리성의 세제 찌꺼기나 땀 성분을 중화시켜 줍니다. 이 과정에서 세균과 냄새 분자의 활성도 억제돼서 냄새가 줄어듭니다.
  • 세균 번식 억제 식초에는 초산(Acetic acid)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는데, 이게 세균의 세포막을 파괴해서 번식을 억제하는 기능을 합니다. 장마철에 냄새나는 원인균들(곰팡이균 포함)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.

✅ 식초 빨래 활용법

헹굼 단계에서 백식초 한 스푼(약 30ml) 넣기 섬유유연제 칸에 식초를 넣으면 헹굼 하면서 냄새 제거가 가능합니다.

세탁 후 식초 냄새는 거의 남지 않고, 오히려 상쾌함을 느끼는 경우도 많습니다.

 

수건 빨래할 때 특히 좋습니다.

수건에 밴 꿉꿉한 냄새는 식초 헹굼으로 확실히 개선됨 유연제보다 수건 흡수력을 유지해 줘서 추천합니다.

 

⚠️ 사용할 때 주의할 점

절대 표백제와 함께 사용 금지! (화학반응 일어나서 유독가스 위험) 과량 사용 시 섬유 손상 가능

→ ‘한 컵(100~150ml)’ 이상은 넘기지 않도록 해 유색 옷이나 민감한 소재에는 소량 테스트 먼저 해보는 게 좋습니다.

 

백식초는 시중 탈취제보다 저렴하고, 천연에 가까운 방식으로 냄새를 잡아주는 만능 세탁 비법입니다.

특히 장마철 수건 냄새, 아기 옷 세탁, 탈취와 소독을 동시에 하고 싶을 때 아주 유용합니다.

 

 

전문가의 조언으로 본 과학적 관리법

서울대 생활과학연구소에 따르면, 실내에서 빨래를 말릴 때 공기 중 습도가 60% 이상이면 세균 번식률이 2배 이상 증가한다고 합니다. 이에 따라 환기와 제습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히며, “옷감의 섬유 구조 속 수분이 남아있을 때 세균이 활발하게 번식한다”는 결과를 제시하였습니다.

또한 LG전자에서 발표한 자사 연구에서는 “건조기에 의한 고온 건조는 세균 번식률을 99% 이상 줄여준다”라고 밝혔으며, 세탁물 위생 관리에 있어 건조 방식이 세탁 방식보다 더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.

 

장마철의 빨래 냄새는 단순히 기분을 불쾌하게 할 뿐만 아니라, 세균과 곰팡이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.

이러한 냄새를 방지하려면 빠른 건조, 올바른 세탁, 세탁기 청소, 적절한 탈취 관리가 핵심입니다. 생활습관을 조금만 바꾸면 장마철에도 뽀송한 빨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.

댓글